아키텍처2 [클론 코딩] 스카이 스캐너(Skyscanner) 클론 코딩 - 서비스 구조화2 지난 글에서 서비스 구조화에 대해서 정리했고, 이번에는 내가 구현하고 싶은 서비스를 구조화 하는 작업을 진행했다. 먼저, api/ 를 포함한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를 받아주기 위해 app.js에서 app.use를 이용해 라우터를 등록해주었다. // app.js const express = require("express"); const app = express(); const flightsRouter = require("./routes/flightsRouter"); // 내가 구현한 api router app.use('/api', [flightsRouter]); // '/api'를 포함한 요청이 들어오면, 등록된 router 안에서 찾아서 제공 실행 파일에 내가 만든 서비스 router 를 넣어주었으니, 이.. 2023. 6. 7. [클론 코딩] 스카이 스캐너(Skyscanner) 클론 코딩 - 서비스 구조화 시작 계기 스터디를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, 기능 구현에 더 많은 시간을 쏟는 바람에 자신도 모르게 가독성을 떨어지게 코드를 짤 때가 많다. 기능별로 분담을 해서 진행하는 소수 인원으로 구성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,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에 더욱 그렇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단 나 자신만 해도 그랬기 때문이다.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, 아키텍처에 관한 개념과 구성 방식을 접할 기회가 있었고, 이 방식이 그동안 해왔던 방식보다 보기에 더 깔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적용을 해보기로 결심했다. 아키텍처란 무엇인가? 단어 그대로의 의미는 건축학이라는 의미지만 여기서는 시스템,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또는 설계의 의미를 가진다. 웹 / 앱의 서비스 구조, 구성요소, 데이터 흐름 및.. 2023. 6. 1. 이전 1 다음